전체메뉴보기
홈페이지의 모든 메뉴를 살펴 보실 수 있는 사이트 맵 입니다.
논문투고
논문 투고 방법 및 발행규정
투고일정에대해 알려드립니다.
논문검색
학지사 학회지에 수록된
우수한 논문을 검색해 보세요!
원고 작성 세칙
「한국학부모학회」논문 심사 규정

『학부모연구』원고 작성 세칙

 

 

1. 논문 작성

가. 논문은 한글 2002 이상이나 MS-WOR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나. 논문의 첫 페이지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기록한다.

다. 논문의 문장은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의미에 혼동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漢子로 표기하거나 ( ) 속에 원어를 표기하며, 외국인의 인명은 원어 그대로 표현한다.

라. 논문 내용을 요약한 국문요약(가로 50~55자, 세로 10행 이내)을 논문제목, 논문 투고자이름(소속기관, 직위) 다음(주요어 앞)에 제시한다.

마. 주요어 명시 : 논문의 편리한 검색을 위하여 반드시 논문 주요어 4~5개를 국문요약 다음(본문 내용 앞)에 명시한다.

바. 영문초록은 1000자 이내로 작성하여 참고문헌 바로 뒤에 명시한다. 영문초록 아래에는 주제어를 제시한다.

사. 논문 분량은 참고문헌을 포함하여 학술지 편집 기준 20쪽 이내(표, 그림, 국문초록, 영문초록, 참고문헌을 포함)를 원칙으로 한다.

아. 투고 논문은 한국어논문의 경우 논문제목, 성명, 소속기관 및 직위, 국문요약, 주요어, 본문 내용, 참고문헌, 영문초록, 영문 주요어의 배열 순서로 작성하여 제출한다. 영어논문은 논문제목, 성명, 소속기관 및 직위, 영문요약 및 주요어, 본문 내용, 참고문헌, 국문초록 및 주요어의 배열 순서로 한다.

 

2. 논문 제출

가. 논문은 내용면에서 완전한 상태로 제출되어야 한다. 이를 그대로 출판했을 때 발견되는 철자, 띄어쓰기, 구두점 등 맞춤법 상의 오류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필자에게 있다.

나. 논문은 온라인을 통해 제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 때 논문이 접수되었다는 확인이 된 시점에서 논문 제출이 완료된 것으로 본다.

다. 투고논문이 아래 사항에 해당되는 경우, 정확한 사사표기를 투고용 논문파일에 반드시 기재하여야 한다. 미기재에 따른 불이익은 전적으로 투고자에게 있다.

1) 학위논문의 일부를 수정보완하여 학술논문으로 게재하려는 경우
2) 연구보고서의 일부를 수정보완하여 학술적 가치를 부가하여 학술논문으로 게재하려는 경우
3)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논문을 수정보완하여 학술논문으로 게재하려는 경우
4) 연구비를 지원받아 작성된 연구를 학술논문으로 게재하려는 경우

라. 투고 논문이 학술지의 편집 양식이나 참고문헌 양식에 맞지 아니한 경우 투고를 반려할 수 있다.

 

3. 논문 편집 기준

가. 용지종류 : 국배판 [210*297]

나. 여백주기 : 왼쪽·오른쪽 35mm, 위쪽 37mm, 아래쪽 38mm, 머리말 13mm, 꼬리말 12mm

다. 글자모양 : 장평 95, 자간 –6

라. 논문구성: 논문제목, 성명/소속, 요약, 본문, 참고문헌, 영문초록의 순으로 작성한다.

마. 본문의 체제별 편집 기준(*아래표 참조)

 

구분 문단모양 글자모양 비고
정렬 줄간격 들여쓰기 크기 서체 모양
논문제목 가운데 170 0
16 휴먼명조 진하게  
성명/소속 오른쪽 170 0 11 휴먼명조    
요약 혼합 170 10
9 휴먼명조    
본문
(바탕글)
혼합 170 10 10 휴먼명조    
제목 Ⅰ. 가운데 170 0
12 휴먼명조 진하게  
1. 혼합 170 0
13 중고딕
 
혼합 170 10
12 휴먼명조 진하게  
1) 혼합 170 10
12 휴먼명조    
가) 혼합 175 10 11 휴먼명조    
인용 혼합 170 10
왼쪽오른쪽여백 15
9.5 휴먼명조    
표/
그림
제목 가운데 160 0 9 중고딕   <표 1>상단
[그림 1]하단
본문 혼합 160 0 9 휴먼명조    
각주 혼합 150 내어쓰기 10 9 휴먼명조    
참고
문헌
목록
제목 가운데 170 0 12 휴먼명조 진하게   
본문 혼합 170 내어쓰기 18 10 휴먼명조    
영문
초록
제목 가운데 170 0 16 휴먼명조 진하게  
본문 혼합 170 10 10 휴먼명조    

 

4. 본문 내의 인용

가. 인용하는 내용이 짧은 경우에는 본문 속에 기술하고, 3행 이상인 경우에는 본문에서 따로 떼어 기술한다. 본문에서 따로 떼어 기술하는 경우에는 인용 부분의 아래위를 한 줄씩 비우고, 좌우로 각각 3줄씩 들여 쓴다.

나. 인용하는 저서나 저자명이 본문에 나타나는 경우(본문 내 인용의 경우)에는 괄호 속에 발행 연도 또는 발행연도와 해당 면을 표시한다.

예) 이에 대해 홍길동(2003)은 …
홍길동(2003, p. 25)은 …
홍길동(2003, pp. 25-33)은 …

다. 인용 저서나 저자명이 본문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부분 말미에 괄호를 치고, 그 속에 저자명과 발행 연도를 표시한다. 문헌들 사이에 쌍반점( ; )으로 가른다. 여러 문헌을 기재할 경우, 국문을 먼저 기재하며, 국문 참고문헌은 가나다순으로, 외국 참고문헌은 알파벳순으로 열거한다.

예) 한 연구(홍길동, 2003; Anderson, 1990)에 의하면 …
연구들(박동수, 2002; 홍길동, 2003; Anderson, 2000; Taylor, 1985)에 의하면 …

라. 저자가 다수일 경우 3인까지는 모두 표시하고, 4인 이상일 경우에는 '첫 번째 저자 등'으로 나타낸다. 참고자료를 문장 끝에 표시할 경우 2~3인의 저자는 가운데 점을 찍어 구분하고, 4인 이상일 경우 국문은 '~외'로, 영문은 ‘et al.’로 표기한다.

예) 저자 2인 : [국문] 홍길동과 박동수(2018)는..., (홍길동·박동수, 2018) [영문] Anderson과 Taylor(2017)는...., (Anderson & Taylor, 2017) 저자 3인 : [국문] 홍길동, 박동수, 김철수(2018)는..., (홍길동·박동수·김철수, 2018) [영문] Anderson, Peterson, Taylor(2017)는...., (Anderson, Peterson, & Taylor, 2017) 저자 4인 : [국문] 홍길동 등(2018)은..., (홍길동 외, 2018) [영문] Anderson 등(2012)은...., Anderson et al.(2012)

마. 각주는 내용각주의 경우에만 하단에 일련번호로 별주 처리하고, 출처를 밝히기 위한 참고각주의 경우에는 본문 중에 삽입한다.

예) 참고각주: 교육은 사회화가 아니다(홍길동, 2003: 12).

바. 위에 언급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편집위원회의 결정사항에 따른다.

 

5. 참고문헌 목록의 작성

가. 참고문헌 목록의 작성방식은 다음에 지시한 바를 따르고 영문인 경우 APA 스타일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1) 단행본의 경우(다수의 저자는 국문은 중점으로, 영문은 쉼표(,)와 &로 표시할 것)

이종각 (2005). 한국의 교육열 세계의 교육열 : 해부와 대책. 서울: 하우.
Peterson, R.(2002) The understanding on distance education. London; London Press.

2)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의 경우(반드시 해당 페이지를 밝힐 것)

홍길동 (2004). 학부모의 이해. 학부모연구, 1(1), 4-27.
Lim, S., & Smith, J. (2014). Structural relationships of parenting styles, creative personality, and lonelines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0(4), 412-419.

3) 학위 논문의 경우(일반대학원이 아닌 경우 반드시 대학원명을 밝힐 것)

홍길동 (2004). 한국사회에서 학부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Miretzky, D. (2002). Parent-teacher perspectives on parent-teacher relationship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4) 번역본 자료를 인용한 경우

Rroche, H. (2012). 교사가 알아야 할 학부모 마음 학부모가 알아야 할 교사 마음[Warum Lehrer Gar Nicht So Blöd Sind] (이수영 역). 시대의 창. (원저는 2010년 출간) 

5) 편집한 단행본 속의 논문인 경우(반드시 해당 페이지를 밝힐 것)

김형태 (1992). 부모·가정의 역할. 한국청소년개발원 편, 청소년문제론. pp. 329-354.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Smith, J., & Lim, S. (2007). Examining the transition from middle school to highschool: Translating research into practice. In S. B. Mertens, V. A. Safara, & M. M. Caskey(Eds.), The young adolescent and the middle school(pp. 277-296). Charlotte; Information Age Publishing.

6) 인터넷 자료를 인용한 경우

홍길동 (2011). 교육개혁의 방향과 과제. http://www.knou.ac.kr (검색일: 2013. 6. 20)
Phillips, P .(2008). Student perceptions of the effectiveness of group and individualized feedback in online courses. Retrieved August 26, 2008, from http://www.knou.ac.kr

나. 참고문헌은 논문의 말미에 제시하되, 본문에 인용 또는 언급된 것으로 제한한다.

다. 한국어 문헌은 저자이름으로 가나다순으로 제시하고 그 다음에 외래어 문헌을 알파벳순으로 제시한다. 여러 나라 문헌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韓, 中, 日, 西洋 순으로 열거한다. 단, 중국어 및 일본어 저자명은 괄호 속에 영문 또는 한글로 표기한다.

라. 동일한 저자의 저술을 두 편 이상 제시할 때는 최근에 출판된 저술부터 순서대로 나열한다. 동일한 저자의 저술로서 동일한 연도에 출판된 문헌을 두 편 이상 인용할 떼에는 출판년도의 말미에 영문자 a, b, c 등을 부기하여 구분한다.

마. 출판이 확정되었으나 아직 인쇄되지 않은 출판 예정 저술을 제시할 떼는 출판년도 대신 ‘출판예정’이라고 기재하고 출판할 예정인 학술지나 책의 이름을 명기한다.

바. 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의 이름을 기재해야 한다.

사. 위에 언급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편집위원회의 결정에 따른다.

 

6. 영문 초록(영문원고는 국문초록)

가. 국문원고의 경우는 논문제출 시에 1000자 이내의 영문초록을 첨부하여야 한다.

나. 영문원고의 경우는 논문제출 시에 350단어 이내의 국문초록을 첨부하여야 한다(단 국외저자의 경우는 예외로 할 수 있다).

 

7. 원고를 투고하기 전 ‘[학부모연구] 연구윤리규정’ (http://aspg.or.kr) 확인

 

8. 논문투고 방법: 학회 홈페이지(http://aspg.or.kr)의 ‘논문투고시스템’에 접속하여 회원등록 후 기초 정보 입력, 투고논문 파일 탑재, 논문게재요청 및 저작권 이양 동의서·저자점검표·윤리규정 준수확약서 작성 및 서명 후 파일 탑재, 그리고 문헌유사도검사결과 파일 탑재